JBC자유방송 첫화면으로
0
\
w
d

게시판

미디어게시판
여러분은 '오래 장수한 방송개시 및 방송종료 영상'하면 일본 니혼테레비의 <비둘기의 휴일>(1953년 개국 당시부터 2001년까지 사용했습니다)을 많이 떠올리실 것입니다. 하지만 이탈리아도 오랫동안 쓴 방송개시 및 방송종료 영상이 있습니다. 바로.... https://www.youtube.com/watch?v=NGNt-PjwdAA (1954년 텔레비전 방송 개시 당시부터 1976년까지 사용한 흑백판. 이탈리아는 컬러방송을 1977년부터 개시했다. 이탈리아는 주요국 가운데 컬러방송 시작이 늦은 편에 속합니다. 이탈리아보다 늦게 컬러방송을 개시한 유럽 국가들로는 1981년 그리스, 1983년 루마니아가 있을 정도죠.) 이탈리아 유일의 공영방송 RAI(Radiotelevisione Italiana - 뜻은 '이탈리아 라디오 텔레비전 협회')의 방송개시 및 방송종료 영상으로, RAI가 1954년 텔레비전 방송을 (이탈리아 최초로) 개시할 당시부터 1986년(!)까지 사용한 방송개시 및 방송종료 영상입니다. 이 영상은 기하학적인 무늬(?)와 하늘을 배경으로 움직이면서 RAI의 TV방송을 상징하는 마크와 'RAI - Radiotelevisione Italiana(RAI - 이탈리아 라디오텔레비전협회)' 자막이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을 반복하는 영상입니다. 워낙 영상이 예술적이어서 그런지(?) 이 영상은 1977년부터는 컬러로 송출되었으며, 1986년(RAI의 로고가 1983년에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 더 쓴 게 신기하네요;;)까지 사용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nX2Uvbk1V0 (1977년 컬러 방송으로 전환한 이후부터 1986년까지 사용한 버전. 1983년 RAI의 로고가 바뀌었을 때에도 3년 더 썼다.) 1977년 이탈리아에 컬러 방송이 도입된 이후부터는 흑백으로 된 방송개시 및 종료영상을 컬러로 바꿔서 1980년대 중반까지 이 영상을 RAI Uno, RAI Due, RAI Tre 가리지 않고 사용했습니다. 그러다가 1986년(RAI의 로고 변경 3년 후)에는 CG를 활용하여 이탈리아 국기를 상징하는 초록색, 흰색, 빨간색의 3색 막대가 회전하면서 이탈리아 지도로 들어가며 전파가 퍼지는 영상을 2012년까지 사용하게 됩니다. 역시 이 자료도 2000년 RAI의 로고 변경(워드마크에서 나비 마크로 바뀐) 후에도 2012년 아날로그 방송종료 때까지 꽤 오래 썼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p86LxRCQTU (1986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한 RAI의 방송개시영상. CG로 제작되었으며, 이탈리아 국기를 상징하는 초록색, 흰색, 빨간색의 막대가 이탈리아 지도 속으로 들어가 전파가 퍼지는 그래픽입니다. 마지막 RAI 로고가 등장하는 부분은 2000년 로고 변경 이후에도 사용되었습니다. 배경음악은 이탈리아 국가의 첫 부분입니다.) 이렇듯, 유럽 방송자료들도 일본 방송자료 못지않게 꽤 오랫동안 사용한 방송개시 및 방송종료 영상이 꽤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5.13 추천 3 조회 73936
저번 시간에 국내 최장수 지역방송 사옥 2번째 시간으로 KBS 진주방송국을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국내 최장수 지역방송 사옥을 다뤄보는 3번째 시간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B$ 가맹방송국 TBC(대구방송)와 충청북도 지역의 $B$ 가맹방송국 CJB(청주방송)의 現 사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위가 2008년 12월 31일까지의 로고 변경 전, 아래는 2009년 1월 1일 로고 변경 후의 사옥)먼저 대구/경북 광역권의 $B$ 지역민방 TBC(대구방송)의 現 사옥입니다. 이 사옥은 1995년 TBC 개국 당시부터 현재까지 28년째(!) 사용 중인데, 원래 이 사옥은 TBC의 대주주였던 청구건설의 사옥이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 사옥을 보면 지역 지상파 방송국 사옥인데도 약간 일반 기업이나 지역 케이블 방송 사옥 느낌 어쩐지 대전 CMB 사옥과 외관이 비슷해보입니다(?) 이 들기도 합니다(?). (다만 청구건설은 1994년 12월에 사옥을 범어동으로 옮겼고 1997년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부도가 났습니다. 이에 따라 TBC의 주인도 귀뚜라미보일러로 바뀌었죠.) 여담이지만 이 사옥 앞에는 2008년 12월 31일까지 TBC의 옛 로고(사과 마크) 조형물도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살펴볼 최장수 사옥은 충청북도의 $B$ 지역민방 CJB(청주방송)의 現 사옥으로 1997년 개국 당시부터 2023년 현재까지 26년째(!) 사용 중에 있습니다. 이것도 사옥의 외관이 일반 기업 빌딩이나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중반 상가하고 비슷해 보이는 것은 물론(?), MBC충북 청주방송국이 2006년, KBS 청주방송국이 2002년에 사옥을 옮긴 것과 달리 지금까지도 사용 중입니다. (여담이지만 MBC충북 청주방송국의 우암동 구사옥(2006년까지 사용)은 원래 청주역의 구 역사였으며, KBS 청주방송국의 구사옥은 현재 청주시립미술관으로 활용중이라고 합니다.)
한국방송 DonggyunMedia 2023.04.03 추천 0 조회 57414
유럽 방송하면 으레 빠질 수 없는 '인-비전 컨티뉴이티' 기획이 돌아왔습니다. 1편과 2편에서는 유럽 주요 국가(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벨기에, 네덜란드) 방송사들의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3편에서는 북유럽권(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방송사들의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다뤄봤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 시간에는 '인-비전 컨티뉴이티' 기획의 4편으로 그리스, 폴란드, 구 소련, 아일랜드의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j0MoHxHx8c (그리스 공영방송 ERT 1의 1980년 당시 Αναγγελία προγράμματος) https://www.youtube.com/watch?v=FRO0Yx9BvJo (그리스 공영방송 ERT 1의 1982년 당시 Αναγγελία προγράμματος) https://www.youtube.com/watch?v=xrgtg-hn0rc (그리스 공영방송 ERT 2의 1988년 당시 Αναγγελία προγράμματος) https://www.youtube.com/watch?v=3YpBCiCIyFw (그리스 민영방송 MEGA Channel의 1990년대 초반 Αναγγελία προγράμματος)   먼저 그리스의 In-Vision Continuity입니다. 그리스 방송에서는 'Αναγγελία προγράμματος(발음은 Anangelia programmatos)'라는 명칭의 In-Vision Continuity를 ERT의 TV 개국(1966년) 당시부터 2000년대까지 타 유럽 국가들과 비슷한 시기에 방송해 왔습니다. 특이하게도 그리스는 타 유럽 국가들과 달리 1981년에 와서야 컬러 방송으로 전환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Ne372Rfpw8 (폴란드 공영방송 TVP1(당시 명칭 TP1)의 1984년 당시 Zapowiedź w studiu. 당시 폴란드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N2CN71kgT8 (폴란드 공영방송 TVP1(TP1)의 1988년 당시 Zapowiedź w studiu. 이 시기는 폴란드의 사회주의 체제 말기의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ogQP1oWjJ-8 (폴란드 공영방송 TVP1(TP1)의 1991년 당시 Zapowiedź w studiu. 이 시기는 폴란드가 사회주의 국가에서 자본주의 국가로 바뀐 지 얼마 안 되던 때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YIjI4M74lg (폴란드 공영방송 TVP1의 1995년 당시 Zapowiedź w studiu.)   이어서 폴란드의 Zapowiedź w studiu입니다. In-Vision Continuity를 폴란드에서는 'Zapowiedź w studiu'라 부르는데, 이는 '스튜디오에서의 Break'를 뜻한다고 합니다(?). 굉장히 직관적인 이름이네요(!). 폴란드 공영방송 TVP는 유럽 방송 중에서 Zapowiedź w studiu를 꽤 오랫동안 사용한 방송국으로도 유명합니다. 1952년 TV 개국(이 당시 폴란드는 사회주의 국가) 당시부터 해당 방식의 프로그램 안내를 채택하여 거의 최근까지 사용했습니다. 이탈리아 RAI, 벨기에 VRT, 핀란드 YLE 못지않게 In-Vision Continuity를 꽤 오래 써왔군요! https://www.youtube.com/watch?v=wRyOxSy4DQE (폴란드 공영방송 TVP1의 2006년 당시 Zapowiedź w studiu.) https://www.youtube.com/watch?v=wgZ6a1xQ5YA (폴란드 공영방송 TVP2의 2018년(!) Zapowiedź spikerska. 폴란드에서는 In-Vision Continuity를 일컫는 명칭이 2개 있습니다. 하나는 Zapowiedź w studiu, 또 하나는 Zapowiedź spikerska. 뜻은 '스튜디오에서의 휴식'과 '방송안내'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NoywIbZ_Nk (구 소련 유일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이었던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ЦТ/ТВ-СССР)의 1985년 당시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ч) https://www.youtube.com/watch?v=iG6gRivxDik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ЦТ/ТВ-СССР)의 1989년 당시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ч) https://www.youtube.com/watch?v=5iiX3BeRG-o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ЦТ/ТВ-СССР)의 1991년 당시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ч. 여담이지만 그 해 말(1991년 12월)에 소련은 해체되고 15개의 공화국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1989년에서 1990년 발트3국(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이 소련을 탈퇴하여 분리 독립한 것을 시작으로 1990년에서 1991년 사이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그리고 (현재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전 세계의 지탄을 받고 있는) 러시아가 차례로 떨어져 나가면서 소련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이어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맹주였던, 그리고 한때 미국과 세계를 양분하던 '냉전' 시대의 대표 국가 중 하나였던, 소련의 국영 텔레비전(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 약칭은 ЦТ 또는 ТВ-СССР)의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ч입니다. (뜻은 '프로그램 안내'. 다만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ч라는 용어는 소련 해체 후 아나운서가 직접 방송안내를 하던 형태의 프로그램 안내가 사라진 후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소련도...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3.31 추천 0 조회 52139
(이 사진에서 위의 심볼마크가 바로 CCTV의 구 로고.)누가 봐도 핵발전이 연상되는(?) 중공 최대의 전국 지상파방송 겸 국영방송 겸 중공의 선전매체 CCTV(中国中央电视台)의 구 로고로 1978년 5월 1일 전국 국영방송 승격(1958년 개국한 중공 최초의 TV채널 구 北京电视台(1979년 세워진 동명의 베이징 지역방송인 北京电视台(BTV)와는 관련없습니다. 이름이 같을 뿐)에서 20년 뒤인 1978년 中国中央电视台로 승격된 것이지요.)부터 2001년까지 정식 심볼마크로 사용되었습니다. 해당 로고는 장데솅(Zhang Desheng)에 의해 디자인되었는데 - 선으로 둘러싸인 구도, 전파 안테나를 연상케 한다지만('TV'를 2개의 'C'가 감싼다는 면에서) 왜인지는 몰라도 전파나 안테나보다는 핵발전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연상되기도 합니다(?).  앞서 소개드린 CCTV 구 로고와 색 배치도, 모양도 비슷한(?) 그리고 친중공 보도 성향까지도 비슷했던 홍콩의 CCATV(亞洲電視)에서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한 로고입니다. 어쩐지 '선이 둘러싸인 형태'의 구도에서 핵발전스러운 CCTV 구 로고랑 아주 비슷해(?) 보일 정도입니다. 역시 CCATV. 이 둘이 합쳐지면 어마어마한 화학반응이 일어나 정말 영 좋지 않은 결과물이 나올듯합니다만(?) ATV는 2016년을 끝으로 지상파 방송을 중단하고 2018년부터 OTT로 전향했지요.그런데 이 두 로고와 형태가 흡사해 보이는 로고가 또 하나 있었으니..... 바로 프랑스 방송 역사상 유일무이한 국영방송이었던(*왜냐면 1975년 1월 ORTF가 해체되고 3개의 공영방송 텔레비전(TF1, Antenne 2, FR3으로 - 이 중 TF1은 1987년 토건재벌 Bouyges 사에게 넘어가 민영화되었습니다.)과 1개의 공영 라디오(Radio France), 3개의 시청각 관련기구(INA, TDF, SFP)의 7개 '공영방송' 조직으로 분할되었기 때문입니다.) ORTF(프랑스라디오텔레비전부)의 로고로 1964년부터 1975년 1월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역시나 3개의 원(=전파, 안테나)이 둘러싸인(여기에 'ORTF'의 'O'까지 더하면 4개), 굉장히 핵발전스러운(?) 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볼 때마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듯한 로고네요(?)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3.20 추천 2 조회 41935
저번 시간에 국내 최장수 지역방송사 사옥 첫 시간으로 제주MBC의 연동 現 사옥을 소개해드렸습니다만, 이번 시간에는 제주MBC 연동 現 사옥 못지않게 장수하고 있는 또 다른 최장수 지역방송 사옥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바로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에 위치한 KBS 진주방송국의 現 사옥입니다(!). 경상남도 진주시 신안동에 위치한 KBS 진주방송국의 현 사옥은 1976년 진주방송국 개설 후 얼마 되지 않은 1978년에 사옥 착공을 시작하여 1980년에 완공되어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 전시간에 소개드린 제주MBC 연동 現 사옥도 이 때 완공되었죠.) 1995년 증축을 거친 후 2023년 현재까지 무려 43년째 사옥으로 사용 중에 있습니다. (그러고보니 제주MBC 現 사옥과 KBS 진주방송국 現 사옥 모두 43년 넘게 사용중이네요 ㄷㄷㄷㄷ)그리고 KBS 진주방송국 現 사옥을 보면 구조가 2층으로, 같은 광역권(부산-울산-경남)의 KBS 부산방송총국, KBS 울산방송총국, KBS 창원방송총국에 비해 사옥이 꽤 작아서 마치 방송국 사옥이라기보다는 송신소나 소규모 문화센터나 동사무소가 연상되기도 합니다(?).여담으로 옆나라에도 이와 비슷한 구조의 지역방송사 사옥이 있었죠. 바로 ABS 아키타방송(아키타 현의 니혼테레비/NNN-NNS 가맹방송국) 구 사옥입니다.  ABS 아키타방송의 구 사옥도 KBS 진주방송국 現 사옥 못지않게 2층 정도의(?) 작은 규모에 송신소 비슷한(?) 구조의 사옥이었습니다. 다만 ABS(아키타방송) 구사옥은 2020년 3월을 끝으로 사용을 종료했으며, 2021년에 철거되었습니다.
DonggyunMedia 2023.03.11 추천 2 조회 19369
1975년부터(ORTF의 분리에 따라) 1987년까지는 제1공영방송이었다가(당시 정식명칭은 Television Française 1, 즉 프랑스 제1 텔레비전), 1986년 자끄 시라끄 당시 프랑스 총리의 TF1 민영화안 통과에 따라 1987년 토건재벌(Bouyges 그룹)에게 소유권이 넘어가 민영화된 공영방송에서 토건방송으로, 그리고 민영화로 인해 보도 수준까지 나락으로 간 프랑스 최대의 방송사 TF1이 1995년 1월 5일 창사 20주년을 맞았을 당시의 '8시 뉴스(20 Heures)' 클로징 화면입니다.   크레딧 위의 TF1 로고 표기방식이 특이한데요, 이 화면에는 가운데에 현재의 TF1 로고를(1989년부터 쓰였죠. 현재 사용되는 로고는 2013년에 배경을 그라디언트로 바꿨습니다.), 왼쪽에는 1975년부터 1986년까지의(제1공영방송 시절의) TF1 로고를(소문자 형태로 하늘색 t, 보라색 f, 분홍색 1이 이어진 형태. 물론 1985년 1월부터 1987년 4월까지는 이 로고를 파랗게 디지트(?) 형식으로 바꾼 버전도 사용했습니다.), 오른쪽에는 1987년 민영화 이후부터 1990년까지 사용한 TF1 로고를(배경이 노란 삼각형) 크레딧에 한꺼번에? 배치해 놨습니다.   다시 말해 창사 n주년을 맞아 역대 로고를 크레딧에 띄워주는 형태였으며, 이는 방송사에서 창사 n주년 기념으로 역대 로고를 보여주며 크레딧에 띄워주는 굉장히 귀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봐도 꽤나 특이합니다(?)   여담: 위의 사진은 1987년부터 2008년까지 프랑스 최대 방송사 TF1의 간판 뉴스앵커였던 Patrick Poivre d'Arvor(PPDA)로 당시 TF1의 저녁 8시 메인뉴스('20 Heures')의 메인 진행자였습니다.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3.01 추천 2 조회 18043
저번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에도 유럽 방송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소개하는 시간을 이어가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북유럽(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방송의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소개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XAYY_1RFlc (1982년 당시 노르웨이 공영방송 NRK의 Kanalvert) https://www.youtube.com/watch?v=2BoZVGsuCno (1995년 당시 노르웨이 공영방송 NRK의 Kanalvert) https://www.youtube.com/watch?v=JYRl2_fFXvg (1993년 당시 노르웨이 민영방송 TV2의 Kanalvert.) https://www.youtube.com/watch?v=3CJtDXYf9E0 (1988년 당시 노르웨이 민영방송 TVNorge의 Kanalvert. TVNorge는 1988년 개국한 노르웨이 최초의 민영방송.) 먼저 노르웨이입니다. 노르웨이를 비롯한 북유럽도 지금까지 다뤄본 여타 유럽 국가들(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벨기에, 네덜란드 등)과 마찬가지로 방송에서 '인-비전 컨티뉴이티'를 사용했습니다. 주로 공영방송인 NRK와 (그리고 NRK의 최대 경쟁사인) 민영방송 TV2, TVNorge를 중심으로 1999년~2000년경(?)까지 이러한 방식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사용했습니다. (참고로 노르웨이어에서 '인-비전 컨티뉴이티'에 해당하는 단어로 Kanalvert가 있고, 그리고 Kanalvert를 진행하는 아나운서를 Hallodame라고 부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sWP6NwnonU (1985년 6월 1일 당시 스웨덴 공영방송 SVT 제1채널의 Hallåa) https://www.youtube.com/watch?v=lBGNXWG9rLQ (1985년 당시 스웨덴 공영방송 SVT 제2채널의 Hallåa) https://www.youtube.com/watch?v=nx1Se1a5gXA (1995년 12월 24일 당시 스웨덴 민영방송 TV3의 Hallåa. TV3은 1987년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공동송출 민영방송 채널로 개국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l4v7Pe2Utk (1999년 12월 11일 스웨덴 민영방송 TV4의 Hallåa.)   다음으로 스웨덴의 In-Vision Continuity입니다. 스웨덴에서는 In-Vision Continuity를 진행하는 아나운서나 In-Vision Continuity를 'Hallåa'라고 지칭하는데, 스웨덴의 Hallåa는 공영방송인 SVT(1979년 이전에는 SR TV)에서 1957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민영방송 TV4에서는 1990년 개국 당시부터 최근까지(?) 이러한 방식의 프로그램 안내를 방송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SjEj86ewQE (2018년 4월 11일 스웨덴 민영방송 TV4의 Hallåa)   https://www.youtube.com/watch?v=yFctGc8PEH0 (1986년 9월 20일 덴마크 공영방송 DR 1의 Programpræsetn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OaeuHWo_y10 (1999년 7월 16일 덴마크 공영방송 DR 2의 Programpræsent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KZDmwKze6xg (1999년 11월 9일 당시 덴마크 공영방송 DR 2의 Programpræsentation)   이어서 덴마크의 In-vision Continuity입니다. 덴마크에서는 In-Vision Continuity를 'programpræsentation'이라 부르며, 공영방송 DR(덴마크 라디오)에만 존재했습니다(!). DR의 텔레비전 채널(DR 1, DR 2)은 1951년 TV 개국 당시부터 1999년까지 해당 방식의 프로그램 안내를 사용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DrqYKc1FhQ (1979년 당시 핀란드 민영방송 MTV*(현 MTV3)의 Kuulutus. 1958년(!)부터 1993년 독자적인 채널(MTV3)로 독립할 때까지 MTV는 공영방송 YLE TV1/TV2의 시간대를 빌려 방송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ZI4RFTZlOQ (1987년 당시 핀란드 공영방송 YLE TV1의 Kuulutus.) https://www.youtube.com/watch?v=chEUeUXBbhg (1998년 4월 13일 핀란드 공영방송 YLE TV1의 Kuulutus.) https://www.youtube.com/watch?v=Nlw_ihk3TSA (2001년 당시 핀란드 공영방송 YLE TV2의 Kuulutus) https://www.youtube.com/watch?v=4PPik3p_cLU (1994년 당시 핀란드 민영방송 MTV3의 Kuulutus.) https://www.youtube.com/watch?v=ECNagKEVIFE (2010년 1월 4일 당시 핀란드 공영방송 YLE TV1의 Kuulutus)   마지막으로 핀란드입니다. 핀란드에서는 In-vision Continuity를 Kuulutus라고 부르며, 공영방송 YLE의 제1채널(=YLE TV1)과 제2채널(=YLE TV2) 그리고 민영방송인 MTV3(구 MTV)을 중심으로 1958년 개국 당시부터 2010년대까지 이러한 방식의 프로그램 안내를 사용했습니다. 이탈리아, 벨기에, 스웨덴 못지않게 장수한 핀란드의 인비전 컨티뉴이티 그러고보니 핀란드의 YLE, MTV3도 유럽 방송 치고 In-vision Continuity(Kuulutus)를 꽤 오랫동안 사용했네요. 타 유럽 국가들이 1990년대를 전후하여 In-Vision Continuity를 버리거나 축소할 때 오랫동안 쓴 것을 보면 여러모로 흥미롭습니다.   *여기서의 MTV는 Mainos-TV-Reklam(상업TV방송)을 의미합니다. 그나저나 1957년에 개국했다니.... 핀란드는 유럽 대륙권에서 민영방송이 빨리 도입되었네요.   이렇게 해서 북유럽(노르웨이,...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2.18 추천 0 조회 14043
해외방송 DonggyunMedia 2023.02.12 추천 3 조회 8746